마켓 인사이트
[2025년 3월 2주 차] 국내ㆍ외 Legal AI Market Report
앨리비에서 Legal 및 AI 업계 주간 트렌드를 핵심만 전해드립니다.
2025-03-18

[2025년 3월 2주 차 Legal AI Market Report]


업계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고 싶은 분들을 위해, 한 주간의 핵심 뉴스를 선별해 전해드리는 'Legal AI Market Report'입니다.

👉 국내 동향

리걸테크&AI 포럼이 개최한 법률사무 분야 생성형 AI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에 대한 세미나 소식과, AI를 활용하고 있는 중소 로펌들에 관한 내용입니다.

1. “국내 AI 규범 수준은 평균…리걸테크 가이드라인은 미흡”

13일 리걸테크&AI 포럼은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세미나를 개최하고 법률사무 분야 생성형 AI 활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제언했습니다.

미국 전미변호사협회(ABA)의 AI 가이드라인인 결의안 중 △변호사의 AI 학습 역량 △AI 활용 시 정보 유출 관리 및 비밀 유지 의무 △의뢰인과의 적극적 커뮤니케이션 의무 △환각 현상 검토 책임 △윤리적 책임 △AI 활용을 통한 보수 책정 합의 등에 대한 특성을 국내 가이드라인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법률사무 생성 AI 활용 가이드라인 마련 주체에 대해서는 변협이 전문성과 현장성을 살려 초안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국내 AI 규범 수준은 평균…리걸테크 가이드라인은 미흡” / 전자신문 (25.03.13)

2. '120억 밸류' 로폼, 3배 퀀텀점프? 업계 반응 '글쎄'

11일 벤처캐피탈(VC) 업계에 따르면 아미쿠스렉스가 국내 기관투자자들과 접촉하며 IR을 진행하고 있다고 합니다. 아미쿠스렉스는 지난 2022년 시리즈A 라운드를 통해 35억원을 조달했으며, 당시 아미쿠스렉스의 기업가치는 프리밸류 100억원, 포스트밸류(투자후 기업가치) 약 122억원으로 책정됐습니다.

아미쿠스렉스는 지난해 지원금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인력채용을 진행하며 R&D 역량을 한층 강화했는데요. 업계에서는 1위 로앤컴퍼니도 100억대 펀딩이 녹록치 않은 상황에서 이보다 체급이 작은 아미쿠스렉스가 100억원대 투자를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반응이라고 합니다.

'120억 밸류' 로폼, 3배 퀀텀점프? 업계 반응 '글쎄’ / 더벨 (25.03.12)

3. 엘박스, ‘국방부 전자법률 도서관 이용사업’ 공급 사업자 선정

엘박스가 ‘국방부 전자법률 도서관 이용사업’ 공급 사업자로 2년 연속 선정됐습니다. 이번 선정으로 전국 모든 국군장병들은 엘박스의 판결문과 유권해석, 결정례, 주석서 등 법률 콘텐츠와 법률 AI서비스(엘박스AI)를 업무에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엘박스, ‘국방부 전자법률 도서관 이용사업’ 공급 사업자 선정 / IT비즈뉴스 (25.03.14)

4. AI로 무장 나선 중소 로펌들

일부 대형 로펌들이 자체 개발팀을 두고 내부에서 맞춤형 AI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반해 자체 AI 시스템을 구축할 여력이 모자란 중소형 로펌들이 시장의 생성형 AI를 활용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 소규모 로펌 대표변호사는 “AI 활용을 광고하려면 대한변호사협회의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별도로 홍보하지는 않지만 내부적으로는 문서 내 정보를 추출하는 간단한 머신러닝 기능을 사용하고 있다”고 말했는데요.

지방변호사회는 회원들의 요구와 호응에 부응하기 위해 AI 법률서비스 요금을 지원하거나 활용 교육을 강화하는 등 실무에서 AI를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추세라고 합니다.

AI로 무장 나선 중소 로펌들 / 법률신문 (25.03.12)

👉 국외 동향

인도와 미국을 중심으로 AI 기반 법률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는 소식과, 2025년 법률 기술 트렌드를 정리한 기사 등을 공유드립니다.

1. The $100 billion disruption: How AI is reshaping legal tech

AI 기반 법률 기술이 인도와 미국을 중심으로 빠르게 발전하며, 판례 연구, 계약 작성, 소송 전략, 규제 준수 등의 법률 업무를 자동화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를 통해 법률 연구 시간 90% 단축, 계약 비용 60% 절감, 소송 예측 정확도 82% 향상 등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전 세계적으로 연간 1,000억 달러 이상의 비용 절감이 예상된다고 하는데요. AI 기반 법률 스타트업이 급성장하며 미래의 유니콘 기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The $100 billion disruption: How AI is reshaping legal tech / The American Bazaar(25.03.11)

2. Eight Legal Tech Trends Set To Impact Law Firms In 2025

2025년 법률 기술 트렌드는 AI 활용 증가, 자동화 도구 확산, 법률 분석 강화, 클라우드 기반 원격 업무 확대, 사이버 보안 강화 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는 로펌의 운영 방식과 고객 서비스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합니다.

특히, 구독형 가격 모델 도입, AI 기반 M&A 증가, 데이터 기반 의사 결정 강화가 주요 이슈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로펌은 이를 대비하기 위해 명확한 목표 설정, 직원 교육 투자, 기술 솔루션 평가 등의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습니다.

Eight Legal Tech Trends Set To Impact Law Firms In 2025 / mondaq(25.03.12)

3. Navigating the challenges of 2025: Law firms in the age of innovation

2025년 법률 업계는 생성형 AI 도입 가속화, 전통적인 청구 방식(시간당 요금)에서 가치 기반 가격 모델로의 전환, 기술 변화에 대한 적응 전략이 핵심 과제가 될 것입니다.

반면 AI로 인해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면서 기존의 시간 기반 청구 방식이 위기에 직면하고 있으며, 법률 시장은 더 투명하고 결과 중심적인 가격 구조를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Navigating the challenges of 2025: Law firms in the age of innovation / thomsonreuters(25.03.12)

4. DeepSeek: the AI that challenges Nvidia and reshapes the legal sector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가 기존 빅테크보다 적은 비용으로 고급 AI 모델을 개발하며 법률 업무 자동화와 AI 기반 법률 서비스 혁신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딥시크를 활용해 문서 검토, 판례 연구 등의 효율성을 높이고, 변호사들이 전략적 법률 자문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으나, 일부 로펌은 맞춤형 AI 솔루션을 개발하며 차별화를 시도할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DeepSeek: the AI that challenges Nvidia and reshapes the legal sector / iberianlawyer(25.03.12)

AI를 통한 업무 혁신, 앨리비로 시작해보세요!
아래 링크를 통해 신청하시면 14일간 무료로 사용해보실 수 있습니다.
14일간 무료 사용 신청하기
(재)행복나눔재단 SIT(Social Innovators Table)팀
서울시 용산구 장문로 60 (동빙고동) 02-333-3963
수신거부 Unsubscribe
SNS에 공유하기
URL 복사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