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I 변호사’합법화가 대선 공약으로 등장했습니다.
✔️ 리걸테크 체험전이 이해민 의원실의 주최로 국회에서 열렸습니다.
✔️ 더불어민주당 중소기업특별위원회가 국내 법률·의료 AI서비스 확산을 위한 ‘AI 변호사’와 ‘AI 홈닥터’합법화 방안을 당의 핵심 정책 과제로 제안했습니다.
✔️ AI 에이전트 확산을 위해 주요 기업들이 상호 기술을 수용하며 생태계 연대를 강화하고 있으며, MCP와 A2A 같은 프로토콜이 사실상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이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인공지능(AI) 서비스 확대를 위한 정책에 ‘AI 변호사’ 제도화를 포함시켰습니다.
법률 AI의 법제화를 통해 관리가 필요하다는 긍정적인 평가가 있는 반면, AI 확대가 변호사 업계의 불황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었습니다.
대한변호사협회와 서울지방변호사회는 AI를 도구로 활용하는 데는 찬성하지만,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 형태의 AI 법률 서비스에는 반대한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대선 공약으로 등장한 'AI 변호사' 합법화 / 법률신문(25.04.19)
조국혁신당 AI특별위원장을 맡고 있는 이해민 의원이 14일 국회의원회관 로비에서 ‘법률, AI와 만나다’ 리걸테크 체험전을 열었습니다.
이날 행사에 서는 체험전에 참여한 각 리걸테크 기업들의 서비스 소개 및 시연이 진행됐습니다.
이해민 의원, 국회서 리걸테크 체험전 열어 / 지디넷코리아(25.04.14)
더불어민주당 중소기업특별위원회가 국내 법률·의료 AI서비스 확산을 위한 'AI 변호사'와 'AI 홈닥터(비대면 원격진료 서비스)' 합법화 방안을 당의 핵심 정책 과제로 제안했습니다.
'법률 AI' 산업의 글로벌시장 규모는 2027년까지 356억달러(51조8555억원), '의료 AI' 시장 규모는 2030년 약 1817억달러(258조1411억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기특위는 입법을 통해 리걸테크 서비스의 변호사법 위반 여지를 제거하고 변호사협회의 거버넌스 참여 등을 확대하는 방안을 제안했습니다.
AI 변호사·홈닥터 합법화... 민주당 중기특위, 7대 정책과제 제안 / 머니투데이(25.04.15)
AI 에이전트 확산을 위해 주요 기업들이 상호 기술을 수용하며 생태계 연대를 강화하고 있으며, MCP와 A2A 같은 프로토콜이 사실상 표준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오픈AI, 구글, 앤트로픽 등은 AI 모델 고도화 및 외부 툴 통합을 확대하고 있으며, 국내외 기업들도 특화 모델 및 AI 플랫폼 출시로 시장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는데요.
동시에 스타트업들도 AI 기반 생산성·검색·PR 툴 등에서 급성장 중이며, 일부는 고성장과 투자 유치로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진화할지 주목받고 있습니다.
AI 에이전트 기반 기술 뜬다...빅테크도 정조준 / 디지털투데이 황치규(25.04.17)
✔️ 톰슨로이터는 긴 문서 기반의 법률 업무를 정확히 처리하기 위해 여러 LLM을 테스트하고 조합하는 멀티-모델 전략과 철저한 벤치마킹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 생성형 AI를 사용하고 있는 법률 전문가의 비율이 2024년 14%에서 2025년 26%로 증가했습니다.
톰슨로이터는 긴 문서 기반의 법률 업무를 정확히 처리하기 위해 여러 LLM을 테스트하고 조합하는 멀티-모델 전략과 철저한 벤치마킹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단순한 검색 기반 RAG보다 전체 문서를 입력하는 '롱 컨텍스트' 방식이 더 정확한 결과를 보여주며, 실제 법률 환경에서의 활용을 고려한 테스트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이러한 기술적 기반은 단순한 질의응답을 넘어, AI가 스스로 계획·실행·적응하는 에이전틱 시스템 구축을 위한 발판이 되고 있습니다.
Legal AI Benchmarking: Evaluating Long Context Performance / thomsonreuters(25.04.14)
톰슨로이터 2025년 보고서에 따르면 로펌과 법무팀의 26%가 생성형 AI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1년 전의 14%보다 증가한 수치라고 합니다.
또한 법률 업무에 AI를 사용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로펌도 59%로 증가했으며, 기업 법무부서 응답자의 59%는 자사에서 Gen AI를 활용하기를 원한다고 답했습니다. 그러나 생성형 AI 활용을 통해 투자 대비 가치를 얼마나 얻고 있는지 측정하는 기업은 20%에 불과하다고 합니다.
Number of legal professionals using Gen AI jumps sharply over past year, study shows / global legal post(25.04.17)